반응형
자바에서 임의로 예외를 발생시키기 위해서는 throw를 사용하면 됩니다.
그중에 throw와 throws 둘은 Exception을 발생시키지만 약간의 차이가 있습니다.
- throw
예외를 발생시킬대 사용하는 키워드입니다.
만약 잘못되 값이 발생하면 예외를 발생시켜서 처리할 수 있도록 합니다.
상위메서드에서도 에러를 감지합니다.
현재 메서드의 에러를 처리 후 상위 메서드에 에러 정보를 주기 때문입니다.
- thows
잠재적으로 어떠한 예외가 발생할 수 있는지 명시해 주는 키워드입니다.
예외 처리를 자신이 하지 않고 자신을 호출한 상위 메서드가 합니다.
try{
throw new Exception("강제 예외");
} catch(Exception e) {
System.out.println("err_msg:" + e.getMessage());
e.printStackTrace();
}
<출처>
반응형
'IT 개발 > 개념정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JSTL] c:foreach (first, last) 외 속성 (0) | 2023.03.22 |
---|---|
에디트플러스 단축키 (2) | 2023.03.16 |
노션 AI 사용 가이드 2 - 기존 콘텐츠 변환하기 (0) | 2023.03.07 |
노션 AI 사용 가이드 1 - 업무 효율 높이기 (0) | 2023.03.06 |
[jQuery] element(요소)가 있는지 확인하기 (0) | 2023.03.03 |
댓글